728x90
반응형
SMALL

하락 60

엑스알피(XRP) 현물 ETF 승인 조금씩 가시화?

현재 미국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와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받고 운용중인자산운용사 프랭클린 템플턴이 11일 미 증권거래 위원회 SEC에엑스알피(XRP) 현물 ETF 증권신고서인 S-1을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프랭클린 탬플턴의 신청서 제출로 이제 미국 현물 ETF 중 엑스알피 현물 ETF 승인 도전에 나선 자산 운용사는그레이스케일, 비트와이즈, 카나리캐피탈, 21쉐어즈, 위즈덤트리, 프랭클린 템플턴총 6개 자산운용사로 늘어나게 되었는데요. 현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는 엑스알피(XRP), 솔라나(SOL) 등의 현물 ETF 승인을 모두 연기하고 있는 가운데우선은 승인이 거부되지 않고 연기가 되었을 뿐 승인이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과 암호화폐 현물 ETF 운용규모 부동의 1,2위인 ..

매수하기 좋은 시기란 없다. 그런데 항상 있다.

최근 미국발 글로벌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이 확산되면서미국 증시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시장에서도거대한 하락장이 몰아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쯤 내렸으면 그만 내려야되는데 하면서도 더 큰 폭으로 하락을 지속하다 보니조금씩 체념을 하는 투자자들도 많아지기 시작하고손절 후 코인시장을 떠나는 투자자들도 생겨나고잘 보이지는 않지만 지금이 기회라고 생각하고진입하고 있는 투자자들도 분명히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지금 미국이 가장 거대한 경제대국이기 때문에 영향을 제일 크게 미치고 있지만중국, 일본을 비롯해 유럽과 우리나라까지많은 국가들의 경제상황이 그다지 좋지 않은 상황에 직면해 있어서말 그대로 글로벌 거시경제 위기라고도 볼 수 있는데요.  하지만 항상 경제가 호황일 수는 없기 때문에경제 위기라는 것은 언제고 오는 일..

엑스알피(XRP), 데드크로스 형성 후 가격은?

엑스알피(XRP)가 주요 대형 암호화폐들 중에서도화이트 크립토 서밋 이후 단연 최고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시간봉 차트 기준으로 데드크로스까지 형성되면서매도 압력이 강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XRP는 2.25달러선에서 거래가 진행되고 있는데전문가들은 현재 기준의 지지선을 2.20달러선으로 보고 있어만약 2.20달러가 붕괴되면 2.00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일부 분석가들은 XRP가 대칭삼각형패턴을 이루고 있어서만약 이 패턴을 상방 돌파하게 되면 상승세를 기록해 3달러선 돌파의 가능성이 있어서2.2달러선을 지켜내는 선에서는 현재 상방, 하방이 다 열려있는 상황인데요. 사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어떤 소식 한 방이면 패턴이 다 붕괴되는 상황이기도 하..

빗썸, 업비트 제치고 유동성 지표 1위에서 보는 해외거래소 주의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의 양대산맥 중 하나인 빗썸이최근 4주 동안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가운데업비트를 제치고 가장 높은 수준의 유동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데이터 제공업체인 카이코 자료를 인용해 빗썸을 통해서 전해졌는데지난 달 2일부터 이달 1일까지 유동성 지표 중 하나인 호가 잔량 기준으로빗썸이 국내거래소 중 1위를 기록했다고 전해졌는데요. 호가 잔량 기준의 유동성 지표는 암호화폐별 하루 평균 가격이±1% 범위에 있는 호가 잔량 금액을 거래소별로 비교하는 방식으로 측정되었는데이 방식으로 측정한 결과 빗썸이 1조 7천 857억원으로 업비트의 1조 6천 779억원을 약 1천억원 앞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굳건하게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점유율 1위를 기록해온 업비트와빗썸의 현재 일일 거..

드디어 비트코인이 70K 구간에 도달

드디어(?) 비트코인이 70K 구간에 도달했습니다.       사실 이번 거대한 하락장에서 80K 구간까지 내려오면서부터 어느정도는 예견(?)이 되었던 하락세였기도 하고 비트멕스 창립자 아서 헤이즈가 예전부터 이야기했던 비트코인이 70K 구간까지 하락했다가 반등할 것이라는 예상 중 70K까지 하락할 것이다라는 예상은 맞아 떨어진 셈이 되었는데요.   특히나 현재 현물 ETF에서 자금 이탈이 심하게 발생하면서 더욱 하락을 가속화하고 있는 단계인데 구조적으로 볼 때 ETF 보유자가 헤지펀드가 대부분이라 현물가격이 오를수록 CME 선물과의 가격차이를 통해  수익을 얻는 구조를 활용하는 헤지펀드의 특성상 이 간격이 좁아지면 현물을 매도하고 선물쪽으로 다시 매수를 옮기는 과정에서 이와 같은 큰 하락에 불을 붙이는..

현재 기준 비트코인 대량 청산구간, 몇 가지 참고 데이터

현재 비트코인 대량 청산구간이롱은 87,750~87,950달러, 숏은 89,720~89,730달러 선에 각각 1억 3200만 달러 정도씩 형성이 되어 있습니다. 출처 : Coinglass 그리고 비트코인의 가격은 현재 숏보다는 롱 청산 쪽에 조금 더 가까운약 88,300~88,500달러선에 형성이 되어 있는데요.  다만 어느정도 대량의 롱과 숏 사이 박스권에서 움직이고 있는 중으로아직 어느쪽으로 비트코인이 움직이면서 청산을 일으킬지는 알 수 없는 상황인데다만 한 가지 더 주목해야 할 점은 어제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동반 폭락 때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62.4%까지 치솟았었지만현재는 61% 이하로 내려갈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요.  단기간의 움직임이기 때문에 아주 유의미하게 보기는 어려운 데이터들이지만많은 사람..

'이게 맞나?'싶을 정도의 가파른 폭락, 어떻게 해야 할까?

최근 들어 암호화폐가 연속적인 사건들과 이슈로 인해 지속 하락세를 기록한 가운데어제-오늘 공포의 하락세를 기록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을 패닉상태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이런 과정 속 비트코인은 지난 해 미국 대선 직후의 가격인 86K까지 한때 하락하며 어디가 끝인지 모를 하락세로 지속적으로 시장 전체를 하락장으로 이끌고 있는데요.  그야말로 폭락장이라고 할 수 있는 지금의 상황은바이비트의 해킹사태를 비롯해 현물 ETF의 연속 순유출, 미국발 무역전쟁 이슈 및 국제정세 심화, 경기 침체 우려 등여러가지 복합적인 이슈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짐에 따라더욱 시장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현재 시장이 추세나 패턴도 많이 무너져 있는 상태로어느방향으로 갈지 분석에 따른 예측을 하기도 쉽지 않은 장으로오히려 머..

솔라나 급락사태로 보는 밈코인중심 솔라나의 현주소

솔라나가  최근 암호화폐장의 침체 속에서특히 메이저코인으로 꼽하는 알트코인들 중 독보적 하락세를 보이며여러 투자자들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이는 아르헨티나 대통령발 리브라 밈코인 러그풀 의혹사태로 인한 변동성을 비롯해오는 3월 FTX 파산 물량이었던 솔라나(SOL)의 대규모 언락 예정,전반적인 암호화폐장의 하락세 등을 주요 하락 원인으로 꼽고 있는데요.  그런데 사실 근본적으로 솔라나의 하락 사태가 온 이유 중 하나는 홍수처럼 발행되어온 솔라나 기반의 수많은 밈코인들로 인해어느정도 예정되어있던 하락사태가 온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알트코인의 종류가 1000만종이 넘는 것으로 전해진 가운데특히 최근 몇 개월 간 신규 발행 토큰 종류의 수가 급등한 데에는솔라나체인 기반의 밈코인들이 홍수처럼 ..

현물 ETF 순유입/유출 기록에서 참고할 점, '1위가 아니어도..'

새벽에 한 때 잠시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역시나 지지부진한 장을 보였던 어제의 암호화폐 장에서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가 동반 순유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나 12월 이전까지는 순유출이 거의 없이압도적 순유입을 기록해왔던 블랙록의 IBIT가12월 하순들어 순유출 횟수가 조금 잦아지고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는데요. 사실 지금 미국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는아래 파사이드 인베스터의 최근 ETF 흐름표를 보면 아시겠지만블랙록의 압도적인 유입 독주체제 속에서 그레이스케일의 유출이 상반되는 규모로 균형(?)이 맞춰져 움직이는 구조인데 주목할점은 이런 IBIT와 GBTC의 규모보다는 작지만피델리티의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인 FBTC, FETH가 시장을 충분히 뒤흔들만한 규모..

암호화폐 하락세 끝? 지금 시점에서 살펴볼 요소 3가지

현재 암호화폐 시장이 최근 며칠간의 급락세 이후약간의 조정과 횡보세에 돌입하며 어느쪽으로 갈지 알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시점에서 살펴봐야 할 3가지 요소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현물 ETF 순유입세 전환하락기간 동안 4일 연속 순유출세를 보였던 비트코인 현물 ETF가크리스마스 하루 휴일을 거친 후 순유입세로 전환하였습니다.  순유출이든 순유입이든 연속성이 진행되면 어느 시점에는 자연스럽게 전환이 되게 되어있는데이런 관점에서 이제 다시 순유입세로 전환되었다는 것은 나쁘지 않은 소식입니다. 다만 한동안 순유출이 없었던 ETF 전체에서 압도적 규모를 차지하는 블랙록의 IBIT가 최근 큰 규모의 순유출이 있었다는 점, 어제 시장의 순유입세에도 IBIT에는 순유출-순유입이 없었다는..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