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관세전쟁 Risk로 인해 엄청난 폭락으로 역대급 청산이 발생했던 암호화폐 시장은
미국-캐나다, 미국-멕시코 간 관세조치 유예 및 협의 돌입 소식이 전해지며
오늘 갑자기 언제 그랬었냐는듯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만 여전히 상승랠리 속 기록했던 전고점은 멀어보이는 가운데
알트코인들은 반등세가 상대적으로 더 약해 전고점은 더욱 멀어지기도 했고
한때 100K를 돌파하며 강력한 반등을 보였던 비트코인은
다시 98K 부근으로 하락하면서 반등인지 아닌지
눈치싸움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보통 큰 폭의 하락이 발생했을 때는
현물 ETF의 순유출이 상당히 큰 규모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어제의 비트코인 현물ETF는 분명 2억 3400만달러 순유출이 되긴 하였는데
역대급 폭락의 규모에 비해서는 아주 큰 규모는 아니었던 점이 다소 이색적인 상황입니다.
게다가 이더리움은 암호화폐 중에도 특히나 하락이 심했고
시장의 하락을 주도한 암호화폐라는 분석이 있는데
이더리움 현물 ETF는 오히려 순유입을 기록하면서
폭락이 다소 무색(?)하게 만드는 상황이 되었는데요.
이렇듯 어제의 기록적 단기폭락 속에서
생각보다 ETF가 기록적인 순유출이 발생하지 않은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적어도 현물 ETF가 어제 폭락의 주 원인은 아니었다라고 해석해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시황 속에서 오늘 중국에서 미국의 관세조치에 대해
미국산에 대한 관세부과, 텅스텐 수출 통제 조치로
보복관세를 진행하겠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은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상황인데
생각보다 하락 후 반등세가 매우 큰 폭으로 발생하기는 했지만
미국-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될 경우 엄청난 파장이 예상됨은 물론
아직까지 멕시코, 캐나다도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진 것은 아닌
일단 관세조치 유예로 급한 불만 먼저 끈 상황이기도 한 만큼
트럼프발 무역전쟁에 따른 여러가지 파장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여전히 아주 조심스럽게 시장을 바라보고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블록체인&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울한 분위기, 긍정회로를 돌릴 암호화폐 시장의 요소 2가지 (1) | 2025.02.03 |
---|---|
암호화폐 폭락, 이 시점에 확인해 볼 수 있는 '암호화폐 특성 3가지' (0) | 2025.02.03 |
스테이블코인, 사상 최초 시가총액 2000억달러 돌파의 의미 (0) | 2025.02.02 |
암호화폐, 거시적인 흐름을 먼저 보아야 한다 (0) | 2025.02.02 |
트럼프 행정부 시작 이후, 암호화폐에 대한 경고도 신경 쓸 필요성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