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11월경부터 미 차기 대통령 당선인 트럼프의 친 암호화폐 정책 호재로
엄청난 상승을 이룬 암호화폐 시장 속
최근 상승에 따른 중장기 보유자들의 수익실현세가 강해지면서
하방압력이 심해지며 급락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큰 하락이 이루어진 후에 비트코인이 95K 부근에서 지지가 되면서
하방 압력을 일정 지지선에서 방어해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 온체인 분석 플랫폼인 크립토퀀트의 분석에 따르면
신규 매수자들의 수요가 높아지면서 하방 압력을 방어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출처 : 크립토퀀트
크립토퀀트의 분석 내용에 따르면 중장기 보유자들의 보유량은 줄었지만
신규 매수 수요가 유입되면서 이를 90~100K 구간 내에서 지지가 되고 있고
1년 이상의 장기보유자들 또한 비트코인을 많이 매도하지 않았다는 점,
12월의 코인 매도세가 11월보다는 감소했다는 점 등이
시장의 지지선을 만들어가고 있는 요인들이라고 밝혔는데요.
사실 돈이 도는 시장의 구조상 매수가 있으면 수익실현을 위한 매도도 자연스럽게 발생하며
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는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이 되지만
그간 암호화폐 업계에 이런 글로벌한 정책적 진입세가 생기기 전에는
하락을 하게 될 경우 어디까지 하락을 하는지 불확실한 요인으로 인해
신규 유입보다는 매도세가 끝나야 하락이 멈추는 경향이 조금 강하게 나타난 편인데
지금의 시장은 이전과는 다르게
미국의 정책적 움직임을 비롯해 각국의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 및 도입,
현물 ETF로 인한 자금 순환, 기관/기업들의 매수 등
여러가지 시장을 형성하는 기반 요인들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신규 진입자들이 이전에 비해서는 조금 더 안정적인 심리로 진입을 할 수 있는 환경이라
자연스러운 시장의 매수매도 형성을 통해
시장이 좀 더 건전해지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블록체인&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플(XRP)의 상승기로, 탈 비트코인에 달렸다 (1) | 2024.12.30 |
---|---|
암호화폐 하락세 끝? 지금 시점에서 살펴볼 요소 3가지 (1) | 2024.12.27 |
구글의 암호화폐 규제 강화, 암호화폐 시장을 위한 긍정적 신호 (3) | 2024.12.22 |
혼동의 암호화폐 시장, 중국 시장으로 새로운 국면 올까? (3) | 2024.12.20 |
차세대 기술들, 대중화를 위해 '인공지능' 사례를 참고할 필요성 (3) | 2024.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