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7월 생산자물가지수 PPI가
전월 비 0.1% 상승한 결과가 나타나면서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결과가 오늘 발표되었습니다.
시장의 예상지표라 할 수 있는 월가의 이번 PPI 예상치는
0.2% 상승으로 집계가 되었었는데
오늘 발표된 실 결과값이 0.1% 상승으로 나타나면서
월가 예상치보다 0.1%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생산자물가지수인 PPI는 금리인하를 위한 주요지표들의 출발점과 같은 지표로
미 연준 Fed에서 금리를 결정하기 위해 주시하는 지표 중에
가장 먼저 발표가 되는 지표인 만큼,
9월 금리인하에 대한 가능성이 지속 대두되온 가운데
이번 PPI 발표는 9월 금리인하 여부를 앞둔
관련 주요지표들의 첫 번째 프리뷰였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런 첫 번째 프리뷰라고 할 수 있는 PPI가 시장예상치를 하회함과 동시에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도 전월과 부합한 수치를 보이면서
미국 인플레이션이 미 연준 Fed의 의도처럼 안정세에 접어들고 있음을
보여준다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제 첫 번째 프리뷰인 PPI 발표가 끝난 가운데
이어져 미 연준에서 더 직접적인 인플레이션 척도로 보는
소비자물가지수 CPI의 발표가 내일 예정되어 있는데요.
사실 PPI와 CPI가 반드시 페어링되어 같은 흐름으로 가는 것은 아닌만큼
CPI는 시장의 예상치보다 더 높게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PPI와 CPI가 같은 경제 사이클 안에서 흘러가는 흐름인 만큼
완전히 연관성이 없는 것처럼 움직이는 것은 또 아니기 때문에
확신할 수는 없지만 내일 CPI가 시장 예상치보다 너무 높게 나올 확률 보다는
엇비슷하거나 PPI와 비슷하게 조금 낮은 수치로 나올 가능성이 더 높다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블록체인&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베이스의 美 SEC를 향한 거래소 재 정의 요청, 변해가는 업계의 향방 (0) | 2024.08.15 |
---|---|
美 정부 1만 BTC 코인베이스 프라임으로 이체, 올해 이체 이력 및 이체 후 흐름은? (0) | 2024.08.15 |
트럼프-머스크 대담, 비트코인은 논의가 되었을까? (0) | 2024.08.13 |
이더리움 거래소 공급량 사상 최저치 기록, 상승하나? (0) | 2024.08.12 |
점점 상승하는 해리스 당선 확률, 판도는 어찌될까? (0) | 2024.08.12 |